모서리
오밍 (스튜디오 갤러리)
그녀는 최근 그림을 붓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분사 방법 및 마르는 시간을 이용하여 유화, 아크릴, 페인트와 마스킹 테이프 등 다양한 종류의 물감과 재료를 캠퍼스에 던져 넣었다가 재료가 마르면 손으로 다시 떼어냈다. 이는 작업 방법이 다양해 보이는데, 그녀의 그림은 시각적 연상이 아니라 일종의 신체 체험과 같다.
안료를 거의 섞지 않고, 직접 덧바른다. 그녀는 안료를 구입하는 과정을 좋아하는데, 우선 관심있는 재료를 구입한다. 구입 할 때 그것으로 어떤 작품의 결과를 구상하지 않는다. 작업을 할 때 화면 위에 그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시작하는데, 나는 안료와 캠퍼스에 대한 그녀의 직접적인 태도가 마음에 든다. 그녀는 그것들 사이의 유동 관계를 끊고, 자신이 사전에 화면을 경영하려는 시도도 끊었다. 배합되지 않은 안료가 더 많은 물질로 소재 자체의 질감을 표현하며, 진행 중인 어떤 시각적 연관성을 객관화 하게 한다.
위에서 언급한 붙였다가 다시 떼어내는 방법은 이번 상해 레지던스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2년전에 시작된 평면회화가 지금까지 완성되지 못했는데, 표면의 아크릴은 이미 완전히 말라 있었지만, 아크릴 아래에 아직 유화 안료가 마르지 않은 채 묻혀 있었다. 안료의 건조 시간이 다른 두 가지 소재가 딱딱하게 굳어진 표면을 두드려서 안의 부드러운 소재를 드러낸다면 어떤 느낌을 줄까! 이런 체험 에서, 그녀는 손으로 표면의 바싹 마른 표피를 떼어냈다. 이 과정은 일종의 표면의 촉각을 눈에 띄게 하는 신체적 반응이었다. 떼어내는 순간도 심리적 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데, 그녀는 내게 손으로 혹은 칼을 사용하여 “파낸 후 다시는 작품을 복원할 수 없다" 면서 소감을 전하던 중 그녀의 눈빛이 그 당시를 응시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바로 지나간 감정을 볼 수 있는, 일종의 깊은 생명 번뇌라고 생각한다.
이런 신체를 이용한 회화나 행위의 과정은 아직 캠퍼스 위에 덧 씌우는 것에 불과 했는데, 그 후의 작업에 대하여 그녀는 의식적으로 화면과 주변의 공간을 연결하기 시작했다. 캔버스를 창문 앞에 놓고, 뒷면에 나무막대로 오른쪽 담장 위에 고정시켰다. 평면회화 작품이 전시장의 전체 공간과 하나가 되어 마치 건물의 일부와 같았다. 그녀는 캠퍼스의 바닥에 캠퍼스 틀을 한 줄로 늘어놓았는데, 이것은 내가 발을 디디고 그림 속으로 걸어 들어가려는 충동을 주었다. 나무의 질감에서 따뜻함을 느끼고 그 그림의 틀도 나무로 만들어 졌기에, 이 내적 연결은 그림을 전통적인 시각적 표면이 아닌 사물로 보게 만든다. 나로 하여금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시각 표면이 아닌, 쉽게 그림을 하나의 물건으로 보게 했다. 회화와 캠퍼스 틀, 그리고 그들이 있는 공간이 암시하는 것은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 냈다.
이 모든 것은 다른 방향의 작품들과 서로 호응하는데, 캠퍼스 틀로 만든 가벽으로 하여금 벽면에 시적인 정취를 가득 담은 투영물 (여러 종류의 천 조각과 설치재료)을 걸어 두었으며, 동시에 그녀는 투명 접착제와 화장실 세척제 로 사용되는 파란 액상, 전시장의 벽면 위에 직접 발랐다. 건조 후, 다시 의도적으로 일부분을 떼어낸 후 벽에 걸어 마치 벽체가 벗겨진 피부처럼 보인다.
그녀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나는 주제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물어보았다. 그녀는 그것이 ‘모서리’ 이라고 말했다. 몇 번의 소통을 한 후에, 나는 이해하게 되었는데, 이른바 '모서리'이라는 것은 바로 두 평면에 생긴 협각으로, 하나의 변두리이다. 그녀가 전하고자 하는 것은 현재 공간에 대한 이해의 표시이다. 처음에는 평면으로 시작지만 작업 과정 중에 회화를 하나의 물질로 삼아 3차원 공간에 넣을 때, 두 면의 관계가 생긴다.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풍부한 이해의 가능성이 생겼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녀는 회화를 건물의 일부처럼 공간에 존재하게 하는데, 캔버스를 벽에 고정시켜 수직으로 표시하고, 벽면 위에 또 다른 벽을 세워, 캔버스에서 떨어져 나온 표피들을 벽에 다시 입혀 변화되는 과정에 관심이 많다.
이로써, 우리는 예술가가 줄곧 벽을 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었다. 평면적 사유에서 회화를 물질적 존재로 해석하고, 공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서부터 시작하여 의식 공간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까지 그녀는 자신의 인식과 경험을 끊임없이 뛰어넘었다. 이렇듯, 그녀의 작업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그녀의 작품에서 예상치 못한 놀라움을 낳기를 기다리고 있다. 마지막 순간까지 모든 것이 변화하고 있다.
corner
Ou Ming (Studio Gallery)
The first time I met Inhee was last winter. In Shanghai, there is no heating facilities, two hundred square meters’ studios made me frozen, even a little tremble. She seemed to have been used to it already. Cold was my first impression of her. Later, it makes more sense to me when I know she is Korean. Perhaps cold is probably not too unbearable for her.
Her paintings are very big. The walls around were covered with all kinds of pigments and traces left during her painting process. It looked quite like the surface of her painting, no difference. The scene made me feel that she seemed more satisfied with the traces left on the wall.
Her recent paintings are not painted with brushes, but with spraying and smearing all kinds of paints. Such as oil paints, acrylics and white glue, just directly threw them onto the canvas. When the pigments get dry, she tears it down with hands. She applied a lot of methods. For me, her painting is more like a physical experience than a visual association. The pigments had almost no blending, but was used directly on the canvas. She enjoys the process of buying pigments and she just buy the ones she likes. However, she didn’t expect what to paint with these pigments when she bought it. Then until she started a painting, she used them on the canvas without choosing. I like her attitude towards pigments and canvas. She cuts off the natural connections between them and cuts off her intention to preset a painting. Unblended pigments are more material sense, presenting the texture of the material itself, and it blocks you from any visual association.
The tearing method mentioned above was extended to this residence project. is a painting that began more than two years ago and it has not been completed yet. During these two years, the acrylic on the surface has been completely dried, but there are still oil paints are covered beneath. Two different materials, the textures and the drying time are different, when knocking the hard surface, there is a little soft inside, think about it, what does it feel like? What would you want to do? With such a large number of experiences like this, which triggered her hand to tear off the dry skin. This process is a bit like peeling off the dead skin on your feet. It's very much a sense of touch, a reflection of the body. The moment when it is uncovered, it also arouses a psychological pleasure. She told me that in addition to using her hands, she uses the knife to spin away a piece. "After cutting away, she can no longer go back, unable to recover". When she describes her feelings, she looks deep into the scene at that time. Evidently, this feeling of passing away is a profound touch of life.
If this kind of body painting or behavior is still confined to a canvas. Then what after that, she began to consciously work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ainting and the surrounding space. The canvas is placed in front of the window and fixed on the right-side wall with wood sticks. The work is integrated into the whole exhibition space, just l like a part of the architecture. Recently, she laid a row of wood sticks under the front of the canvas, which provide me an impulse to step on and walk into the painting. The texture of wood feels warm and the painting’s frame is also made of wood. This inner connection makes it easier for me to see painting as an object rather than a traditional visual surface. Painting and wood sticks, together with their spatial hints, create a unique atmosphere altogether.
All these echoes with the works on the other side. A partition built by a wooden bar and a divided space. The wooden frame leaves some poetic projections on the wall. At the same time, it also triggers her to paint the mixture of white glue and blue toilet cleaner in large area directly on the wall. after drying, part of it is intentionally torn apart, hanging on the wall, like the skin of the wall is exposed.
During her working process, I kept asking what the theme of her project. She said it was "corner". After a few interpretations and communication, I probably understand. The so-called "corner" It is the angle between the two planes, which produces a corner. What she wants to convey is he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space. At first, it was a graphic thinking, and later the painting was regarded as an object to her. When she put the painting into three-dimensional space, it produced relations between two planes. This creates the possibility of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pace. So, she makes the painting like a part of the architecture, existing in the space; from the beginning, two drawing boards are fixed on the wall, to the vertical way fixing on the wall; then to the directly paint on the wall with materials, and intentionally uncover a part of it. Trying to make the whole plane of the wall slowly comes up, occupy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ich implies the transformation from plane to three-dimensional space.
In this way, we can clearly see that the artist has been surmounting all the time. From the graphic thinking of a painting to treat the painting as a material existence, from the relatively simple understanding of space to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conscious space. She continues to surmount her own knowledge and experience.
In a word, her work continues. I am watching and looking forward to it. Awaiting unexpected surprises from her work. Everything is changing until the last moment.
边
欧鸣 (工作室画廊)
第一次见杨仁喜是去年的冬天。在上海,没有暖气,两百平米的工作室,冻的我有点瑟瑟发抖。她看似早已习惯。寒冷是我对她的第一印象。后来知道她是韩国人,也就比较理解,寒冷对她来说,可能真不是太难受的一件事。她的画很大。绘画以外的墙壁上都是颜料和绘画过程中遗留的痕迹,效果如同绘画的表面,没有差别。现场看起来,她似乎更满意墙壁上遗留的这些痕迹。
她近期的绘画并不是拿笔画的,而是各种喷洒,涂抹的方法,把油画、丙烯、白胶等各种类型的颜料扔到画布上。等颜料干后,用手再撕下来。方法很多。在我看来,她的绘画更像是一种身体体验,而不是产生于视觉的联想。颜料几乎没有调和,而是直接涂抹上去。她喜欢购买颜料的过程,看到喜欢的就买下来。买的时候并没想到用它来描绘什么。等到画画的时候就随手用在画面上。我喜欢她这种对待颜料和画布的态度。她切断了它们之间的天然联系,也割断了自己有意事先经营一张画面的企图。未经调和的颜料更加的物质,呈现材料本身的质感,阻断你进行任何的视觉联想。
刚才说到的撕扯方法,被延续到了这次的驻地项目。是一张两年多以前开始的绘画,至今没有完成。两年的时间,表面的丙烯已经完全干透,但丙烯下面还有被覆盖的油画颜料。两种不同的材料,质地和干燥的时间不同,当敲打硬硬的表面,里面还有点软,想一想,它会带给你什么样的感觉?你会想要干什么?在这样大量的体验下,触发她用手去揭开表面干枯的表皮。这个过程有点像平时抠脚上的死皮一样。那是很触觉的,身体的一种反映。当被揭开的瞬间,也会激起心理的快感。她告诉我,除了用手,还会用刀,旋转的挖掉一块。“挖掉之后就再也回不去了,无法复原”,她在描述自己的感受时,眼神深深的指向当时的情景中。可见这种一去不复返的即逝感,是一种深刻的生命触动。
如果说,这种身体的绘画,或行为的过程还局限在一张画布上。之后的工作,她开始有意识的使画面与周围的空间发生联系。画布被放在窗前,背后用木条固定在右边的墙体上。与展厅的整体空间融合成一体,好似建筑的一部分。最近她又在画布下平铺了一排木条,让我有一种想踏上去,走向画面的冲动。木条的质感温暖,而且画框也是木条制作的。这种内在的联系使我更容易把绘画看成为一个物件,而不是传统意义上的视觉表面。绘画和木条,以及它们所处的空间暗示一起,共同营造出特有的气氛。
这一切都与另一侧的工作交相呼应。木条构建出的隔断,被分割的空间。使木框在墙面上留下一些充满诗意的投影。同时也触发她,将白胶和洁厕灵的混合物,大面积的直接涂刷在墙体上。干燥后,再有意撕开一些部分,挂在墙上,像墙体被揭起的皮肤一样。
在她创作的过程中,我一直追问创作的主题是什么?她说是“边”。几经解释和沟通,我大概理解。所谓的“边”,就是两个平面产生的夹角,会产生一条边。
她想传达的是目前对空间的理解。一开始是平面的思维,到后来把绘画当成一个物质,放到三维的空间中时,就产生两个面的关系。以此产生了对空间更为丰富理解的可能性。所以,她让绘画像建筑的一部分,在空间中存在;从开始两个素描板固定在墙体上,到以垂直的方式,竖在墙面上;再到墙体上直接涂抹材料,并有意揭起一部分,让整个墙体的平面慢慢的起来,占据三维的空间,暗示人们从平面到三维空间的转变。。
以此,我们能清晰的看到,艺术家一直在跨越。从平面的思维理解绘画到把绘画当成一个物质存在;从对空间相对简单的理解到意识空间的无限可能性。不断跨越自己的认识和经验。
总之,她的工作还在继续。我一边观看,一边期待。期待她的工作产生意想不到的惊喜。不到最后一刻,一切都在变化。

모서리
오밍 (스튜디오 갤러리)
그녀는 최근 그림을 붓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분사 방법 및 마르는 시간을 이용하여 유화, 아크릴, 페인트와 마스킹 테이프 등 다양한 종류의 물감과 재료를 캠퍼스에 던져 넣었다가 재료가 마르면 손으로 다시 떼어냈다. 이는 작업 방법이 다양해 보이는데, 그녀의 그림은 시각적 연상이 아니라 일종의 신체 체험과 같다.
안료를 거의 섞지 않고, 직접 덧바른다. 그녀는 안료를 구입하는 과정을 좋아하는데, 우선 관심있는 재료를 구입한다. 구입 할 때 그것으로 어떤 작품의 결과를 구상하지 않는다. 작업을 할 때 화면 위에 그 재료의 물성을 기준으로 시작하는데, 나는 안료와 캠퍼스에 대한 그녀의 직접적인 태도가 마음에 든다. 그녀는 그것들 사이의 유동 관계를 끊고, 자신이 사전에 화면을 경영하려는 시도도 끊었다. 배합되지 않은 안료가 더 많은 물질로 소재 자체의 질감을 표현하며, 진행 중인 어떤 시각적 연관성을 객관화 하게 한다.
위에서 언급한 붙였다가 다시 떼어내는 방법은 이번 상해 레지던스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2년전에 시작된 평면회화가 지금까지 완성되지 못했는데, 표면의 아크릴은 이미 완전히 말라 있었지만, 아크릴 아래에 아직 유화 안료가 마르지 않은 채 묻혀 있었다. 안료의 건조 시간이 다른 두 가지 소재가 딱딱하게 굳어진 표면을 두드려서 안의 부드러운 소재를 드러낸다면 어떤 느낌을 줄까! 이런 체험 에서, 그녀는 손으로 표면의 바싹 마른 표피를 떼어냈다. 이 과정은 일종의 표면의 촉각을 눈에 띄게 하는 신체적 반응이었다. 떼어내는 순간도 심리적 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데, 그녀는 내게 손으로 혹은 칼을 사용하여 “파낸 후 다시는 작품을 복원할 수 없다" 면서 소감을 전하던 중 그녀의 눈빛이 그 당시를 응시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바로 지나간 감정을 볼 수 있는, 일종의 깊은 생명 번뇌라고 생각한다.
이런 신체를 이용한 회화나 행위의 과정은 아직 캠퍼스 위에 덧 씌우는 것에 불과 했는데, 그 후의 작업에 대하여 그녀는 의식적으로 화면과 주변의 공간을 연결하기 시작했다. 캔버스를 창문 앞에 놓고, 뒷면에 나무막대로 오른쪽 담장 위에 고정시켰다. 평면회화 작품이 전시장의 전체 공간과 하나가 되어 마치 건물의 일부와 같았다. 그녀는 캠퍼스의 바닥에 캠퍼스 틀을 한 줄로 늘어놓았는데, 이것은 내가 발을 디디고 그림 속으로 걸어 들어가려는 충동을 주었다. 나무의 질감에서 따뜻함을 느끼고 그 그림의 틀도 나무로 만들어 졌기에, 이 내적 연결은 그림을 전통적인 시각적 표면이 아닌 사물로 보게 만든다. 나로 하여금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시각 표면이 아닌, 쉽게 그림을 하나의 물건으로 보게 했다. 회화와 캠퍼스 틀, 그리고 그들이 있는 공간이 암시하는 것은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 냈다.
이 모든 것은 다른 방향의 작품들과 서로 호응하는데, 캠퍼스 틀로 만든 가벽으로 하여금 벽면에 시적인 정취를 가득 담은 투영물 (여러 종류의 천 조각과 설치재료)을 걸어 두었으며, 동시에 그녀는 투명 접착제와 화장실 세척제 로 사용되는 파란 액상, 전시장의 벽면 위에 직접 발랐다. 건조 후, 다시 의도적으로 일부분을 떼어낸 후 벽에 걸어 마치 벽체가 벗겨진 피부처럼 보인다.
그녀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나는 주제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물어보았다. 그녀는 그것이 ‘모서리’ 이라고 말했다. 몇 번의 소통을 한 후에, 나는 이해하게 되었는데, 이른바 '모서리'이라는 것은 바로 두 평면에 생긴 협각으로, 하나의 변두리이다. 그녀가 전하고자 하는 것은 현재 공간에 대한 이해의 표시이다. 처음에는 평면으로 시작지만 작업 과정 중에 회화를 하나의 물질로 삼아 3차원 공간에 넣을 때, 두 면의 관계가 생긴다.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풍부한 이해의 가능성이 생겼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녀는 회화를 건물의 일부처럼 공간에 존재하게 하는데, 캔버스를 벽에 고정시켜 수직으로 표시하고, 벽면 위에 또 다른 벽을 세워, 캔버스에서 떨어져 나온 표피들을 벽에 다시 입혀 변화되는 과정에 관심이 많다.
이로써, 우리는 예술가가 줄곧 벽을 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볼 수 있었다. 평면적 사유에서 회화를 물질적 존재로 해석하고, 공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에서부터 시작하여 의식 공간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까지 그녀는 자신의 인식과 경험을 끊임없이 뛰어넘었다. 이렇듯, 그녀의 작업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그녀의 작품에서 예상치 못한 놀라움을 낳기를 기다리고 있다. 마지막 순간까지 모든 것이 변화하고 있다.
corner
Ou Ming (Studio Gallery)
The first time I met Inhee was last winter. In Shanghai, there is no heating facilities, two hundred square meters’ studios made me frozen, even a little tremble. She seemed to have been used to it already. Cold was my first impression of her. Later, it makes more sense to me when I know she is Korean. Perhaps cold is probably not too unbearable for her.
Her paintings are very big. The walls around were covered with all kinds of pigments and traces left during her painting process. It looked quite like the surface of her painting, no difference. The scene made me feel that she seemed more satisfied with the traces left on the wall.
Her recent paintings are not painted with brushes, but with spraying and smearing all kinds of paints. Such as oil paints, acrylics and white glue, just directly threw them onto the canvas. When the pigments get dry, she tears it down with hands. She applied a lot of methods. For me, her painting is more like a physical experience than a visual association. The pigments had almost no blending, but was used directly on the canvas. She enjoys the process of buying pigments and she just buy the ones she likes. However, she didn’t expect what to paint with these pigments when she bought it. Then until she started a painting, she used them on the canvas without choosing. I like her attitude towards pigments and canvas. She cuts off the natural connections between them and cuts off her intention to preset a painting. Unblended pigments are more material sense, presenting the texture of the material itself, and it blocks you from any visual association.
The tearing method mentioned above was extended to this residence project. is a painting that began more than two years ago and it has not been completed yet. During these two years, the acrylic on the surface has been completely dried, but there are still oil paints are covered beneath. Two different materials, the textures and the drying time are different, when knocking the hard surface, there is a little soft inside, think about it, what does it feel like? What would you want to do? With such a large number of experiences like this, which triggered her hand to tear off the dry skin. This process is a bit like peeling off the dead skin on your feet. It's very much a sense of touch, a reflection of the body. The moment when it is uncovered, it also arouses a psychological pleasure. She told me that in addition to using her hands, she uses the knife to spin away a piece. "After cutting away, she can no longer go back, unable to recover". When she describes her feelings, she looks deep into the scene at that time. Evidently, this feeling of passing away is a profound touch of life.
If this kind of body painting or behavior is still confined to a canvas. Then what after that, she began to consciously work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painting and the surrounding space. The canvas is placed in front of the window and fixed on the right-side wall with wood sticks. The work is integrated into the whole exhibition space, just l like a part of the architecture. Recently, she laid a row of wood sticks under the front of the canvas, which provide me an impulse to step on and walk into the painting. The texture of wood feels warm and the painting’s frame is also made of wood. This inner connection makes it easier for me to see painting as an object rather than a traditional visual surface. Painting and wood sticks, together with their spatial hints, create a unique atmosphere altogether.
All these echoes with the works on the other side. A partition built by a wooden bar and a divided space. The wooden frame leaves some poetic projections on the wall. At the same time, it also triggers her to paint the mixture of white glue and blue toilet cleaner in large area directly on the wall. after drying, part of it is intentionally torn apart, hanging on the wall, like the skin of the wall is exposed.
During her working process, I kept asking what the theme of her project. She said it was "corner". After a few interpretations and communication, I probably understand. The so-called "corner" It is the angle between the two planes, which produces a corner. What she wants to convey is he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space. At first, it was a graphic thinking, and later the painting was regarded as an object to her. When she put the painting into three-dimensional space, it produced relations between two planes. This creates the possibility of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pace. So, she makes the painting like a part of the architecture, existing in the space; from the beginning, two drawing boards are fixed on the wall, to the vertical way fixing on the wall; then to the directly paint on the wall with materials, and intentionally uncover a part of it. Trying to make the whole plane of the wall slowly comes up, occupy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ich implies the transformation from plane to three-dimensional space.
In this way, we can clearly see that the artist has been surmounting all the time. From the graphic thinking of a painting to treat the painting as a material existence, from the relatively simple understanding of space to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conscious space. She continues to surmount her own knowledge and experience.
In a word, her work continues. I am watching and looking forward to it. Awaiting unexpected surprises from her work. Everything is changing until the last moment.
边
欧鸣 (工作室画廊)
第一次见杨仁喜是去年的冬天。在上海,没有暖气,两百平米的工作室,冻的我有点瑟瑟发抖。她看似早已习惯。寒冷是我对她的第一印象。后来知道她是韩国人,也就比较理解,寒冷对她来说,可能真不是太难受的一件事。她的画很大。绘画以外的墙壁上都是颜料和绘画过程中遗留的痕迹,效果如同绘画的表面,没有差别。现场看起来,她似乎更满意墙壁上遗留的这些痕迹。
她近期的绘画并不是拿笔画的,而是各种喷洒,涂抹的方法,把油画、丙烯、白胶等各种类型的颜料扔到画布上。等颜料干后,用手再撕下来。方法很多。在我看来,她的绘画更像是一种身体体验,而不是产生于视觉的联想。颜料几乎没有调和,而是直接涂抹上去。她喜欢购买颜料的过程,看到喜欢的就买下来。买的时候并没想到用它来描绘什么。等到画画的时候就随手用在画面上。我喜欢她这种对待颜料和画布的态度。她切断了它们之间的天然联系,也割断了自己有意事先经营一张画面的企图。未经调和的颜料更加的物质,呈现材料本身的质感,阻断你进行任何的视觉联想。
刚才说到的撕扯方法,被延续到了这次的驻地项目。是一张两年多以前开始的绘画,至今没有完成。两年的时间,表面的丙烯已经完全干透,但丙烯下面还有被覆盖的油画颜料。两种不同的材料,质地和干燥的时间不同,当敲打硬硬的表面,里面还有点软,想一想,它会带给你什么样的感觉?你会想要干什么?在这样大量的体验下,触发她用手去揭开表面干枯的表皮。这个过程有点像平时抠脚上的死皮一样。那是很触觉的,身体的一种反映。当被揭开的瞬间,也会激起心理的快感。她告诉我,除了用手,还会用刀,旋转的挖掉一块。“挖掉之后就再也回不去了,无法复原”,她在描述自己的感受时,眼神深深的指向当时的情景中。可见这种一去不复返的即逝感,是一种深刻的生命触动。
如果说,这种身体的绘画,或行为的过程还局限在一张画布上。之后的工作,她开始有意识的使画面与周围的空间发生联系。画布被放在窗前,背后用木条固定在右边的墙体上。与展厅的整体空间融合成一体,好似建筑的一部分。最近她又在画布下平铺了一排木条,让我有一种想踏上去,走向画面的冲动。木条的质感温暖,而且画框也是木条制作的。这种内在的联系使我更容易把绘画看成为一个物件,而不是传统意义上的视觉表面。绘画和木条,以及它们所处的空间暗示一起,共同营造出特有的气氛。
这一切都与另一侧的工作交相呼应。木条构建出的隔断,被分割的空间。使木框在墙面上留下一些充满诗意的投影。同时也触发她,将白胶和洁厕灵的混合物,大面积的直接涂刷在墙体上。干燥后,再有意撕开一些部分,挂在墙上,像墙体被揭起的皮肤一样。
在她创作的过程中,我一直追问创作的主题是什么?她说是“边”。几经解释和沟通,我大概理解。所谓的“边”,就是两个平面产生的夹角,会产生一条边。
她想传达的是目前对空间的理解。一开始是平面的思维,到后来把绘画当成一个物质,放到三维的空间中时,就产生两个面的关系。以此产生了对空间更为丰富理解的可能性。所以,她让绘画像建筑的一部分,在空间中存在;从开始两个素描板固定在墙体上,到以垂直的方式,竖在墙面上;再到墙体上直接涂抹材料,并有意揭起一部分,让整个墙体的平面慢慢的起来,占据三维的空间,暗示人们从平面到三维空间的转变。。
以此,我们能清晰的看到,艺术家一直在跨越。从平面的思维理解绘画到把绘画当成一个物质存在;从对空间相对简单的理解到意识空间的无限可能性。不断跨越自己的认识和经验。
总之,她的工作还在继续。我一边观看,一边期待。期待她的工作产生意想不到的惊喜。不到最后一刻,一切都在变化。